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 도시형생활주택의 정의, 단지형다세대주택에서 수익이 더 나는 이유 이번글에서는 도시형생활주택의 하나인 단지형다세대주택과 다세대주택에 대해서 설명을 할려고 합니다.도시형생활주택이 지어질수 있는 지역은 도시지역에서만 지어질수 있습니다.도시지역이란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을 말합니다.즉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은 비도시지역이므로 도시형생활주택을 지을수 없습니다.간혹 계획관리지역에서 지을수 있냐고 문의 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계획관리지역은 관리지역에 속하므로 비도시지역이기 때문에 설치를 할수 없는 것입니다.도시형생활주택은 그 종류에 따른 구분과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조금 복잡할 수도있지만 개념정리를 한다는 의미로 간단히 정의정도만 숙지하셔도 될듯합니다. 도시형생활주택의 정의도시형생활주택은 300세대 미만의 국민주택규모에 해당하는 주택(전용면적85m2.. 2025. 3. 19. 내가 살 단독주택 계획잡고 구상하는 방법 이번글에서는 저번에 현장조사를 갔다왔던 화성시 비봉택지의 단독주택 필지 중 한곳을 지정해서 내가 살고자 하는 단독주택을 계획하는 과정을 설명할려고 합니다.단독주택은 맞춤형 옷과 같아서 내 조건과 상황에 맞게 설계를 하다보니 설계하기에 굉장히 까다로우면서도 재미있는 용도중 하나입니다.우선 구성원을 가정해보고 계획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대지면적은 208m2(63평) 이며 법정건폐율과 용적률은 각각 60%, 150%, 3층이하의 조건이며가족구성원은 엄마,아빠,아이들세명 다섯가족이 함께 사는 단독주택으로 컨셉을 잡고 풀어나가 보겠습니다. 단독주택 계획잡는 방법1.기본법규체크 자세한 건축법규까지는 몰라도 건폐율과 용적률, 층수제한 등 기본적인 법규내에서 건물의 규모를 정해야합니다. 대지안의 공지같은 이격거리.. 2025. 3. 18. 고시원을 오피스텔로 전환하여 수입을 내는 방법 이번글에서는 고시원에 대해서 한번 더 설명을 할려고 합니다.흔히 고시원하면 상업지역, 역근처 등에서 고시원 총무가 고시원 업무를 봐주고 공용주방과 작은실들이 많이 이어져 있는 것을 생각할겁니다.요즘고시원은 예전 고시원과 개념이 조금 다르며 원룸 또는 소형오피스텔인데 각 실별로 취사시설이 없다라고 생각하시면 접근하기가 편합니다.유튜브등에서 보면 엄청 많은 고시원을 운영하시면서 자동화를 하시는 분도 계시던데 필자같은 경우는 이렇게 많게 운영을 하시는분을 상담을 해드리거나 운영을 해보지 않아 대량으로 하는 사업은 잘 모르므로 대략 20~30실정도로 운영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고시원을 오피스텔로 전환하여 수입을 내는 방법고시원을 투자하실려면 우선 내가 투자할수 있는 상황이 어떤지 그래서 어떻게.. 2025. 3. 17. 오피스텔 투자와 오피스텔 건축기준 오피스텔 투자이번글에서는 오피스텔 투자관련 사항에 대해서 설명을 할려고 합니다.개인적으로는 오피스텔이 투자로서는 제일 어렵고 불리하다고 보고 있습니다.그 큰 이유로는 오피스텔을 주택수에 포함을 시켜서입니다. 원래 오피스텔은 주택수에 포함이 안됐으나 예전에 아파트가격이 미친 듯이 올랐을 때 오피스텔 가격도 오르니 이걸 억제하기 위해 주택수에 포함시켜 억제할려고 주택수에 포함을 시켰습니다.비아파트 공급을 촉진시킨다고 소형오피스텔(60m2이하)은 주택의 수에서 제외를 시켰지만 이것만으로는 크게 관심을 끌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원래대로 오피스텔은 주택수에서 제외를 시켜야 한다고 생가하고 있습니다.일반수요자들이 주택을 매입을하게 된다면 주택수에 포함이 되는 경우 오피스텔보다는 아파트를 더 선호하기 때문에 분양을.. 2025. 3. 12. 단독주택공사 시 현장관리인의 자격조건, 업무 이번글에서는 건축주가 직영공사로 단독주택을 직접 지을 경우 배치하여야하는 현장관리인에 대해서 설명을 할려고 합니다.단독주택이 200m2 이하인 경우 건설업면허가 안들어가도되서 전문시공업자가 아닌 건축주가 직접 직영으로 공사를 해도 됩니다. 이때 현장관리인을 선정하여 착공신고를 하게 되어있습니다.현장관리인이 하는 일과 배치시에 필요한 자격조건 그리고 실제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현장관리인의 자격조건, 업무현장관리인이란 건축주가 소규모건축공사를 건설업체에 맡기지 않고 자재부터 하도급업체선정까지 직영으로 시공할 때 현장에 배치되는 건설 기술인을 말합니다. 건설업체가 시공하는 현장은 현장대리인이 배치되며 직영공사같은 작은공사에는 현장관리인지 배치됩니다. 현장관리인과 현장대리인은 다른용어입니다.. 2025. 3. 12. 건물을 짓기위한 도로폭, 건축선이 변경되는 경우 이번글에서는 대지를 매입했는데 경계선이 변경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할려고 합니다.일반적으로 대지는 평당 가격으로 말하는데 한 평당 가격이 비싼 편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매입한 대지를 내가 사용할수 없고 제외지가 된다면 또는 실제사용을 할수 없다면 대지에 대해 금전적 손해, 짓고자하는 건물의 건폐율과 용적률이 적어져 건물의규모도 손해를 보며 결국 수익전반에서 손해를 보게 됩니다.도로와 내땅의 경계선을 건축선이라고 하며 이글에서는 건축선이 변경되는 경우라고 표현을 하겠으며 대부분의 사례들은 소요폭미달 도로에 접한 경우와 가각전제에 의한 경우 막다른도로에 접한경우로써 대부분 4m도로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제 그 사례들에 대해서 설명을 하겠습니다.4m이하의 도로에 접하였을 때 가능한 경우와 내.. 2025. 3. 12.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