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건물 공사 시 설치하면 좋은것과 주의사항

마크탱 2025. 3. 4. 14:35
반응형

이번글에서는 조금 쉬어가는 시간으로 원룸건물을 지으면서 설치하면 좋았던것과 공사시 주의해야 하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을 할려고 합니다.

건물에서 큰 하자는 누수와 결로입니다. 이것만 조심하면 건물에서는 큰 하자는 없다라고 봐도 무관할 듯 합니다.

건물공사시 설치하면 좋은것과 주의사항

이제부터 설명할 건물의 규모는 1층은 필로티 주차장이면서 2~4층은 원룸주택으로 사용하는 연면적 150~200평정도의 다가구주택이라고 가정하고 설명을 하겠습니다.

 

1층부분에서는 기초공사 시 설비배관을 매트에 묻어서 공사를 하는데 이 배관공사를 할 때 구배(경사도)를 너무 가파르게 하면 오물이 내려가는 속도보다 물이 내려가는 속도가 빨라서 오물이 같이 안내려가는 현상이 생겨 냄새가 많이 나게 됩니다

1층에 설치되는 빗물받이공사시 빗물받이와 빗물받이를 서로연결하는 배관 주위에는 폼을쏘거나 방수를해서 배관과 빗물받이 사이을 통해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1층 수도계량기 설치시 상수도원격자동검침기를 설치하면 동절기때 눈이 많이오거나 계량기 뚜껑이 얼었을 때 안열어보고 검침을 할 수 있어 매우 편안합니다.

주차장 바닥은 보통 칼라콘크리트를 많이 사용하는데 동절기때 이 공사를 하게되면 면이 보슬보슬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하자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마당콘크리트 타설은 동절기를 피해서 합니다.

1층 출입구부분에 벽과 바닥이 만나는 부분과 바닥돌이 이어지는 부분에는 방수공사를 해야 벽과 바닥에 물이 올라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비에 안맞는 공간이라고 안하시는 분도 계신데 나중에 1층바닥 돌이 젖어서 물냄새가 나거나 내부벽쪽으로 물이 타고 올라와 내부마감이 떨이지는 하자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2~4층 일반층에서는 창호공사시 창틀과 콘크리트벽사이에 폼을 밀실하게 싸줘서 내부쪽으로 넘어오는 빗물등을 차단하고 틈새로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합니다. 이때 인부를 쓰면 일품도 나가지만 잘 하지도 않습니다. 가까운 철물점에 가서 폼을 사다 내가 직접하는게 더 꼼꼼해서 하자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창호에 설치되는 방충망은 자금에 여유가 있다면 스텐망설치를 권장합니다.

덜 찢어지고 오래사용할수 있습니다. 망 틈이 작을 것을 설치하면 작은 날파리들이 적게 들어옵니다.

창틀 밑부분에 물구멍이 있는데 다이소등에서 붙이는 망을 사서 붙이면 모기와 같은 해충이 덜 들어 옵니다.

벽 단열재 설치시 단열재 연결부위를 밀실히 하여 단열성능을 높여주고

내부벽체마감시 석고보드에 단열재가 붙어있는 제품이 있는데 이걸 설치하거나 내부에 열반사단열재를 한번 더 붙여서 시공하는 경우 내부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각 세대별 의무대상은 아니여도 일괄소등스위치를 설치하면 편안합니다.

세대출입구 근처에 가스검침기를 설치하면 내부실을 안들어가고도 검침을 할수있어서 재실자가 여성분일 경우 집에 안들어가도 되므로 매우편안합니다.

내부 천정형 에어컨 설치시 돌 안쪽으로 에어컨배관을 설치하면 배관 때문에 지져분해 보이는 것을 피할수 있는데 이경우 돌과 벽의 공간이 여유있게 확보되어야 에어컨배관을 구부렸을 때 파손이 안됩니다.

배관이 찢어지거나 구부러짐이 심해서 배관이 접혀서 냉방이 안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공사시 참관하여 확인해야합니다.

벽쪽에 설치되는 환풍구캡설치시 바람이 세게부는 날에는 후두나 화장실 환풍기에있는 냄새가 건물안으로 들어오므로 역류방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부에 설치되는 모든 배관에는 트랩이 잘 설치 되어있는지 확인해야 세면기, 대변기에서 악취기 덜 올라옴니다.

싱크대 배관을 자세히보면 배관이 두 개가 설치가 되는데 메인배관 옆에 오버플로우배관이따로 있는걸 볼수 있습니다. 이 배관이 느슨하게 휘어지게 설치가 되면 그 휘어진 부분에 물이 차여서 냄새가 역류하므로 느슨하지 않고 짧게 연결이 되어야 합니다.

외벽돌마감공사시 돌과 돌틈사이에 빽업재를 밀실하게 채운 것과 실리콘을 밀실하게 채웠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래야 벽쪽에서 빗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외부로 돌출해서 설치되는 발코니 노대 캐노피가 있다면 벽쪽과 연결되는 부분 방수공사에 신경써야 합니다.

지붕공사시에는 방수와 드레인이 중요한데 드레인구멍 부분에 방수가 밀실하게 되어야합니다.

일반적으로 경사지붕일때는 징크를 많이 사용하고 평지붕일때는 우레탄방수를 주로 사용니다.

도막방수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재 시공을 해줘야 해서 유지보수비가 들어가며 재 설치시 방수부분을 다 갈아서 긁어내야 하자가 덜 발생합니다.

햇빛등에 의해 부풀거나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조잔디를 깔아서 사용할 경우 사용기간을 늘릴수 있습니다.

 

 

 

 

반응형